본문 바로가기
간호 실무 이론

Nebulizer, 흡입 요법 간호

by 간호사 지니 2023. 3. 18.

Nebulizer, 흡입 요법 간호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인공호흡기를 많이 이용하는 중환자실에서 자주 볼 수 있는 요법입니다. Nebulizer 간호에 대해 정리해 드릴 테니 읽어보시고 간호 지식 쌓아가보세요.

 

흡입 요법 간호
흡입 요법 간호

 

목차

1. Nebulizer 목적

2. Nebulizer의 종류

- 2.1. Ultrasonic nebulizer

- 2.2. MDI(Metered Dose Inhaler)

3. Nebulizer 약물

- 3.1. Acetylcysteine

- 3.2. Ipratropium

- 3.3. Sabumtamol

- 3.4. Budesonide

 

1. Nebulizer 목적

Nebulizer, 즉 흡입 치료는 dyspnea가 있거나 가래 배출이 힘든 환자에게 적용하는 치료 중 하나입니다. 대상자의 기관지 안으로 에어로졸(분무) 혹은 가루 형태로 약을 투여합니다.

 

2. Nebulizer의 종류

2.1. Ultrasonic nebulizer

Ultrasonic nebulizer
Ultrasonic nebulizer

일명 Pari boy로 불리는 Ultrasonic nebulizer입니다. 기계와 Nebulizer kit에 선을 연결하고 전원을 키면, 시끄러운 소음을 내면서 약을 압축시키고, 기체로 만듭니다. 그리고 그 기체는 환자에게 흘러가 약물을 흡입하게 됩니다.

 

약물이 들어가는 공간이 작고, 약물의 입자의 밀도가 낮으므로 끝부분까지 약물을 전달하는데 용이합니다. 제조사에서 만든 사용법 영상이 있으므로 첨부하도록 하겠습니다.

 

Ultrasonic Nebulizer 사용법 

Ultrasonic Nebulizer 사용법

 

인공호흡기를 하고 있는 환자에겐 입에 물리는 것이 아니라, 인공호흡기 inspiration 부위에 연결하여 사용하면 됩니다. 제품 모델에 따라 Nebulizer 기능이 포함되어 있는 기계가 있어 따로 Pariboy를 준비하지 않아도 됩니다.

 

만약 Nebulizer 기능이 없는 인공호흡기를 사용하고 있더라도 Pari boy를 가져와 Nebulizer를 적용하면 됩니다. 다만 Pari boy에서 분출되는 외부 기체가 인공호흡기 flow senser를 거쳐서 들어가므로, 인공호흡기 그래픽과 수치가 다소 변할 수 있으므로 참고하셔야 합니다.

 

Nebulizer 아동
Nebulizer 아동

이런 식으로 마스크를 이용해 Nebulizer를 적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일반적인 경우 입으로 물게 하도록 교육하여 적용하지만, 의식저하 된 환자에게 적용할 경우 이런식으로 마스크를 이용해 Nebulizer를 투여합니다.

 

2.2. MDI(Metered Dose Inhaler)

MDI
MDI

영화나 드라마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흡입 약물입니다. 주변에서 천식 환자들이 간간히 사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름 그대로 1번 누를 때 일정한 용량의 약물이 폐로 들어가는 장치입니다.

 

일상생활을 하면서 위의 Ultrasonic Nebulizer 기계를 들고 다니기엔 힘드므로, 주머니에 쏙 들어가고 간편한 MDI를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분출되는 양보다 실제로 폐까지 들어가는 비율이 적으며 올바른 사용법을 숙지해야 한다는 게 단점입니다.

 

약을 누른 뒤 숨을 크게, 천천히 들이쉬어야 하지만 제대로 사용하지 않으면 약물이 입안에만 뿌려지기만 할 뿐 아무 효과도 내지 않을 수도 있습니다.

 

 

3. Nebulizer 약물

보통 4가지 약물을 주로 사용하고, 경우에 따라서는 동시에 사용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저희 병원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4가지 약물을 알려드리겠습니다.

 

3.1. Acetylcysteine

Acetylcysteine
Acetylcysteine

진해거담제로 사용되는 Acetylcysteine입니다. 점액의 점도를 낮추는 효과가 있으며, 가래가 너무 끈적해서 흡인이 잘 되지 않는 환자에게 적용합니다.

 

여담으로 최근 유리병에서 위의 플라스틱 모양으로 변경되었는데, 훨씬 사용하기 편합니다. 부작용이 거의 없으므로, 인공기도를 갖고 있는 환자에게 부담 없이 투여할 수 있습니다.

 

3.2. Ipratropium 

Ipratropium
Ipratropium

Atrovent라고도 불리는 Ipratropium입니다. 항히스타민 효과를 가지고 있는 기관지 확장제이며, 기관지 평활근 부교감 신경에 작용하여 기관지를 확장시킵니다.

 

호흡계 CRGNB 감염환자들은 Colistin 항생제 Nebulizer를 하게 되는데, 항생제의 효과를 높이기 위해 Colistin 투약 전 Ipratropium을 묶음처방내어 효과를 극대화시켜 줍니다.

 

 

3.3. Sabumtamol

 

Salbutamol
Salbutamol

Ventolin으로도 불리는 Salbutamol입니다. 이전 약물과는 다소 다른데,  β2 Agonist로서 기관지 평활근을 이완시켜 기관지 수축을 예방하는 약물입니다.

 

다만, β2 Agonist이기 때문에 부정맥과 심계항진 같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어 투여할 땐 주의가 필요한 흡입 치료 약물입니다.

 

3.4. Budesonide

Budesonide
Budesonide

스테로이드 흡입 치료 약물인 Budesonide입니다. 천식이 있는 환자에게 주로 사용됩니다만, 스테로이드 제재이기 때문에 그에 따른 부작용에 주의해야 합니다.

 

특히 입으로 흡입한 뒤 헹구어주지 않으면 칸디다증이 생길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고 alert 한 환자에겐 투여 후 입을 헹구라고 꼭 교육해야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