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실무 이론

IICP(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뇌압 상승 간호

by 간호사 지니 2023. 3. 13.

오늘은 IICP(Increased Intracranial Pressure), 즉 뇌압 상승 간호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임상경험을 토대로 작성된 글을 읽어보시고 간호 지식 쌓아가보세요.

 

목차

1. IICP 정의

2. IICP 원인

3. IICP 증상

4. IICP 간호

 

1. IICP 정의

IICP 이미지
IICP 이미지

IICP란 말 그대로 두개골 내 압력이 상승한 상태를 뜻합니다. 주관적인 증상만으로는 정의할 수 없고, 성인 기준 정상 ICP(Intracranial Pressure)가 0~15mmHg입니다. 하지만 ICP가 15mmHg 이상 지속적으로 올라가 있는 상태를 IICP라 일컫습니다. 

 

ICP가 높은 상태로 계속 유지되면 뇌혈류량이 감소하게 되어 뇌로 들어가는 산소가 떨어지게 되어 손상을 입게 됩니다. 또한 뇌가 밀려 뇌간이 압박되어 생명유지를 할 수 없게 되거나 뇌 허혈이 일어나게 됩니다.

2. IICP 원인

2.1. 뇌부종 (Cerebral edema)

다양한 원인으로 인해 세포 안, 세포 밖 혹은 둘 다 fluid가 정상수치를 넘어서 축적된 상태를 뜻합니다.

 

2.2. 수두증 (hydrocephalus)

세포의 fluid가 아닌, 뇌척수액(CSF)의 과다 생성, 통로 폐쇄, 흡수 장애로 인해 수두증이 걸립니다.

 

2.3. 일반적인 요인

1. 과탄산혈증 : pCO2 ≥ 45mmHg

2. 저산소혈증 : pO2 < 50mmHg

3. Valsalva's maneuver

4. 혈관 확장제

5. 스트레스 상황, 불안

6. 뇌 대사를 증가시키는 seizure, 고체온

 

3. IICP 증상

3.1. 초기 증상

의식 변화, pupil 이상, 운동기능 손상, 두통, 이명, 현기증으로 겉으로 볼 땐 가볍게 볼 수 있는 증상들로 시작합니다.

 

3.2. 후기 증상

흐르는 것이 아니라 분출되는 토사성 구토, 반신 마비, unstable V/S 가 있습니다.

 

3.3 기타

1. 유두부종(눈 검사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시상하부 기능 저하로 체온 조절 미숙

3. cushing reflex (SBP 증가, 맥압 증가, 서맥)

 

4. IICP 간호

4.1. V/S 확인

Cushing reflex가 나타나면 SBP 상승, 서맥이 생길 수 있으므로 잘 확인합니다. 미주신경 흥분으로 인해 서맥이 발생하며, 뇌관류가 떨어지면 방어기전으로 Catecholamine이 과다하게 분비되므로 혈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4.2. 혈중 산소/이산화탄소 확인

pO2 50mmHg 이하의 저산소증은 cerebral vasodilation과 뇌조직 저산소증을 일으켜 뇌 손상을 유발합니다.pCO2의 증가 또한 cerabral vasodilation과 Cerebral Fluid 증가로 IICP가 악화됩니다.

 

4.3. CSF 배액 양상 확인

CSF의 배액을 통한 감압을 위해 EVD(External Ventricle Drainage)를 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정상 CSF는 무색, 투명하고 시간당 20cc씩 때문에 배액 되는 CSF의 양상이나 배액 속도가 변한다면 즉시 의사에게 알려야 합니다.

 

4.4. Head elevation

머리를 올려줌으로써 CSF와 정맥귀환량을 늘려주어 IICP를 예방합니다.

 

4.5. 정상 체온 유지

체온이 올라가면 뇌의 대사가 올라가고, 두개내압을 상승시켜 IICP가 악화될 수 있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