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실무 이론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원인, 증상, 치료

by 간호사 지니 2023. 3. 10.

오늘은 내과 중환자실에서 주로 등장하는 진단 ARD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풀 네임은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인데, 이름이 굉장히 두루뭉술하게 표현되어 있어서 개념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모호합니다. 한국말로 하면 '폐 힘듦 증후군'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목차

1. 정의

2. 원인

- 2.1. sepsis

- 2.2. harmful 물질 흡입

- 2.3. 심각한 폐렴

3. 증상

- 3.1.SOB (Shortness of Breath)

- 3.2. 저혈압

- 3.3. Confusion

4. 치료

- 4.1. Oxygen supply

- 4.2. Fluid

- 4.3. 약물

- 4.4 Prone position

- 4.5. NO gas therapy

 

1. 정의

ARDS
ARDS

ARDS라는 이름이 굉장히 애매해서 개념을 이해하기가 어렵습니다. ARDS는 Lung의 alveoli, 즉 폐포에  fluid가 가득 차 제 기능을 할 수 없는 경우를 말합니다. 그렇다면 Acute Fluid filling syndrome 같은 좀 이해하기 쉬운 네이밍은 어땠을까요?

 

폐포의 기능은 O2 흡수와 CO2 배출입니다. 사람이 공기를 들이마쉴때 폐포의 표면적에서 공기와 산소와 이산화탄소 성분을 교환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폐포가 액체로 가득 차있다면 공기가 제대로 폐포까지 들어가지 못해 교환이 일어나지 못합니다. 

 

2. 원인

폐 주변의 미세한 혈관으로부터 Fluid가 폐포로 흘러들어가 물이 차게 되는 것입니다. 원래 정상적으로는 membrane이 있어 폐포를 보호하지만, 외상을 입거나 컨디션이 저하된 환자가 membrane에 손상을 입어 폐포로 fluid가 새는 것입니다.

 

2.1. sepsis

한국말로는 패혈증입니다. ARDS가 일어나는 주 원인이며 혈액 감염으로 인해 주로 Sepsis가 진행됩니다.

 

2.2. harmful 물질 흡입

담배나 화학연기같은 해로운 물질을 흡입할 때 주로 발생합니다. 중환자실에서는 주로 이 원인은 없습니다만 응급실에선 자주 볼 수도 있겠습니다.

 

2.3. 심각한 폐렴

대형 병원에는 폐렴환자도 굉장히 많으므로 병동에서 ARDS로 환자가 응급하게 내려오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내려와서 바로 Intubation을 하게 됩니다.

 

 

3. 증상

증상은 다른 폐질환과 비슷합니다.

 

3.1. SOB (Shortness of Breath)

숨 헐떡임이라는 뜻입니다. 그리고 누가 봐도 숨을 힘들게 쉬고 있습니다. 비의료인이 봐도 굉장히 숨차보인 다고 느낄 정도입니다.

 

3.2. 저혈압

폐에 산소가 들어가지 않는다는 것은 즉, 심장에도 산소가 돌지 않는다는 뜻입니다. 그래서 굉장히 힘들게 심장을 움직이고 있으며, 제대로 압력을 전달하지 못해 저혈압이 발생합니다.

 

3.3. Confusion

굉장히 힘들게 숨을 쉬므로 환자는 매우 힘들어하고 피곤해합니다. 또한 혈중 이산화탄소가 높아지기 때문에 혼미해져 더욱더 숨을 힘들게 쉬고, 제대로 쉬지 못합니다.

 

4. 치료 및 간호

4.1. Oxygen supply

증상이 가볍다면 Nasal prong에서 High flow nasal cannula까지 비침습적으로 치료를 할 수 있겠습니다만 ARDS로 중환자실에 내려오는 경우는 대부분 Intubation부터 시작하고 봅니다.

 

다만, intubation을 통한 산소공급은 그 자체가 치료가 아니라 환자가 치료를 받을 시간을 벌어주는 것입니다. 인공호흡으로 시간을 벌고 그 시간 동안 환자에게 맞는 치료를 해야 ARDS가 치료됩니다.

 

4.2. Fluid

원인으로부터 알 수 있듯이, 폐포에 fluid가 차게 된 것이 ARDS입니다. 그러므로 수액을 줄 때는 굉장히 조심스럽게 판단해야 합니다. 너무 많이 주면 폐포에 물이 더 찰 것이고, 너무 적게 주면 Volume 부족으로 shock이 더 진행될 수 있습니다.

 

4.3. 약물

감염을 예방하고 치료하는 약을 주로 사용합니다. sepsis로 인한 ARDS라면 Culture를 진행해 원인균을 찾고 그에 맞는 항생제를 투여합니다. 또한 폐의 염증으로 인한 폐포가 제대로 기능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으므로 steroid를 사용하여 염증을 줄여줍니다.

 

4.4 Prone position

ARDS에서 효과가 좋다고 하는 Prone position입니다. 몸을 똑바로 눕히는 것이 아니라 몸을 뒤집어 폐에 가하는 압력을 줄여주고 폐포면적이 넓은 후엽을 위로 향하게 합니다. 상당히 복잡한 내용이므로 다음 기회에 더 자세히 설명하겠습니다.

 

4.5. NO gas therapy

이산화질소를 인공호흡기에 연결해 폐혈관을 확장시켜 줍니다. 하지만 성인에겐 수가가 적용되지 않고, 명확한 근거가 없기 때문에 탐탁지 않아 하는 교수님도 있습니다. 그래도 결과로만 보면 ARDS 환자에게 NO gas를 적용 한 뒤 산소포화도가 올라가는 것은 대부분 증명된 사실입니다. 이 또한 복잡한 내용이기 때문에 다음 글에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ARDS를 간략하게 설명해 보았습니다. 오늘의 글은 ARDS에 대해서 설명하는 글로, 간호의 영역이 많이 포함된 Prone position, NO gas therapy는 이후 글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TP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간호

수술 환자에게 다량의 수혈을 하기 위한 Massive Transfusion Protocol이지만 내과중환자실에서도 종종 일어나는 일입니다. 보통 간이 안 좋은 환자들이 Varix bleeding으로 인한 hematemesis 나 hematochezia, melena

nursingmemo.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