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실무 이론

말초정맥관 삽입 (IV, Intra venous) 정보, 간호

by 간호사 지니 2023. 6. 18.

오늘은 말초정맥관 삽입(IV, Intra venous) 정보, 간호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IV
IV

목차

1. 말초정맥관 (IV, Intra Venous) 란?

2. 말초정맥관 삽입 준비물

- 2.1. Angio Catheter

- 2.2. Tegaderm

- 2.3. Saline lock

3. 말초정맥관 삽입 방법

- 3.1. Angio Catheter 선택

- 3.2. 삽입 위치 확인

- 3.3. 삽입 절차

 

1. 말초정맥관 (IV, Intra Venous)란?

 

Vein
Vein

Intra + Venous(Vein)의 합성어 입니다. 말 그대로 '정맥으로 들어간다, 준다' 정도가 됩니다. 외과계 환자던, 내과계 환자던 IV는 치료의 기본이고 첫 시작입니다. 응급하게 환자가 중환자실로 내려오게 되면 IV route가 몇 개 있는지부터 확인합니다. 다소 응급하지 않은 병동환자가 입실해도 최소 IV route는 1개 확보해야 합니다.

 

왜냐하면 IV를 통해서 약을 주입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IM(근육 내 주사), SC(피하 내 주사), IT(척수강 내 주사) 등 약물을 주는 방법은 다양하지만 가장 많이, 보편적으로 쓰이는 방법은 IV입니다. 외과적으로 수술을 받는 환자도 fluid 및 진정제를 투여하기 위해 IV가 필요하고, 내과적으로 항생제 치료를 받는 환자도 IV가 필요합니다.

 

약물 투여 외에도 투석, CRRT 등 다양한 치료를 하기 위해 정맥이 쓰이기도 합니다만 오늘은 투약을 위한 말초정맥관만 다루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동맥으로는 약을 투여하지 않습니다. 약의 효과가 나타나지 않을뿐더러 허혈만 일으키기 때문입니다. 애초에 병동에서는 A line이 없고, 중환자실에서는 동맥으로 투여하지 않도록 철저히 교육받습니다.

 

2. 말초정맥관 삽입 준비물

말초정맥관은 삽입하기 위해서는 5가지 정도 물품이 필요합니다. 서울에 있는 대형병원이나 큰 대학병원에서는 필요한 물품마다 제품화되어있지만 동네의원이나 작은 병원에서는 제품화된 물건 말고 테이프로 대체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2.1. Angio Catheter

Angio Catheter
Angio Catheter

말초정맥관 삽입 전 가장 먼저 고려해야 하는 Angio Catheter입니다. 밑에서부터 순서대로 24G, 22G, 20G, 18G, 16G, 14G 크기의 Angio Catheter입니다. G는 게이지라고 읽으며 숫자가 작을수록 얇은 크기입니다.

 

이전에 비교적 건강했던 외과 환자들은 혈관이 굵으나, 오랜 병원 생활을 했던 내과계 환자들은 대부분 혈관이 얇습니다. 그래서 잘 넣으면 20G, 정말 혈관이 없는 분들은 24G도 힘들게 넣는 분들이 많습니다. 16G는 거의 본 적이 없고 14G는 아예 본적이 없습니다. 말초로 14G를 잡느니 차라리 중심정맥관을 넣는 게 훨씬 낫습니다.

 

 

C line (Central line, 중심정맥관)

오늘은 C line (central line, Central venous line, 중심정맥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항암, 투석하는 환자를 제외한 일반 환자들은 보통 갖고 있지 않으며 중환자실로 와야지만 삽입하는 경우가 많습

nursingmemo.tistory.com

 

그리고 색깔별로 G가 정해져 있습니다. 24G는 노란색 22G는 파란색 등. 혹은 그 비슷하게라도 색을 맞춥니다. 그래서 기록을 확인하지 않더라도 환자에게 삽입되어 있는 Angio Catheter의 색만 보더라도 몇 G인지 파악할 수 있습니다.

 

2.2. Tegaderm

Tegaderm
Tegaderm

IV Angio Catheter를 고정시킬 Tegaderm입니다. film dressing의 한 종류이며, 하나에 2000원 정도 하는 것으로 알고 있습니다. 사실 제품화돼서 사용하기 편할 뿐이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닙니다.

 

IV Angio Catheter는 혈관에 삽입되면 따로 고정장치가 없기 때문에 환자가 조금만 움직여도 빠져버릴 수 있습니다. 그래서 위와 같은 피부에 달라붙는 물건을 이용하여 기껏 힘들게 잡은 IV route가 빠지지 않도록 고정합니다.

 

작은 병원에선 이 제품을 사용하지 않고 비용 절감을 위해 테이프로 IV를 고정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2.3. Saline lock

Saline lock
Saline lock

Angio Catheter를 넣었으면 바로 약을 연결하는 경우가 있습니다만 중환자실에서는 대부분 Saline lock, 혹은 Heparin lock이라 불리는 제품을 연결해 놓습니다. 요즘엔 감염 예방을 위해 위 사진과 같이 luer lock 제품을 많이 사용합니다.

 

당장에 약을 주지 않더라도 Saline lock을 연결해 놓으면 다음에 약을 줄 수 있습니다. Catheter를 막아놓지 않으면 피가 새게 됩니다.

 

 

 

 

3. 말초정맥관 삽입 방법

IV insertion
IV insertion

사실 말초정맥관을 넣는 것은 연차가 쌓여도 안될 땐 정말 안됩니다. 환자의 혈관이 다양하게 생겼고, 혈관이 잘 터지는 환자, 혈관이 잘 움직이는 환자, 혈관이 경화된 환자 등 임상에선 정말 다양한 케이스를 마주하게 됩니다.

 

여러 번 하다 보면 자연스럽게 늘게 되지만 신규 간호사땐 정말 긴장되기 마련입니다. 환자가 Alert 해서 내가 하는 것을 눈을 떼지 않고 지켜볼 땐 더더욱 그렇습니다.

 

3.1. Angio Catheter 선택

가장 먼저 해야 하는 것이 목적에 따라 Angio Catheter를 고르는 일입니다. 

 

24G : 투약 (항생제, 간단한 약)

22G : 투약 (항생제, 간단한 약 & Fluid, 승압제)

20G : 투약, 수혈, 조영제

18G : 빠른 약물 주입, 특정 시술(Embolization 등)

 

Angio Catheter는  약물을 안정적으로 줄 수 있도록 굵으면 굵을수록 좋습니다. 하지만 22G도 힘든 환자가 많기 때문에 절대적인 기준은 아니고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IV route가 확보가 되지 않아 24G에 수혈을 하거나 승압제를 주는 경우도 있습니다.(특히 수혈은 권고되진 않습니다)

 

Furosemide 같은 단순한 약을 주는데 굳이 18G는 필요 없습니다. 환자도 덜 아프도록 얇은 24G를 선택하면 됩니다.

 

3.2. 삽입 위치 확인

당연하게도 혈관이 보여야 삽입하기도 쉽습니다. 피부가 어둡거나 부종이 너무 심하면 육안으로 보이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옆에서 쳐다보기만 해도 혈관이 잘 보이는 경우도 있지만 대부분은 그렇지 않기 때문에 토니켓을 묶고 확인합니다.

 

그리고 적당한 위치를 확인했으면 혈관의 모양, 길이도 확인해야 합니다. 꾸불꾸불한 모양의 혈관이라면 Angio Catheter가 진입이 안되거나, 혈관이 터져버릴 것입니다. 그리고 Catheter의 길이만큼 혈관이 길지 못하다면 마찬가지로 진입이 안될 것입니다.

 

그리고 말초정맥관은 기본적으로 '말초'에서부터 시작해야 합니다. 무슨 말이냐면 팔꿈치부터 IV를 확보하지 말고 손부터 시작하라는 뜻입니다.

 

예를 들어 전완에 있는 IV로 약을 주다가 괴사가 일어나게 된다면 그 전완 밑으로는 더 이상 약을 줄 수 없습니다. 약물이 괴사 된 혈관을 지나가기 때문입니다. 반대로 손에 괴사가 일어나게 된다면 전완부터는 약을 줄 순 있습니다. 이렇게 괴사가 일어나는 경우는 잘 없지만 항상 최악의 경우를 고려해봐야 합니다.

 

3.3. 삽입 절차

0. 시술하기 편한 자세를 잡습니다. 주변에 방해되는 물건이 있다면 이동시킵니다. 제 생각엔 자세가 제일 중요하다 생각합니다.

1. Catheter를 넣을 때 피부가 밀리지 않도록 엄지손가락으로 피부를 아래로 당겨줍니다.

2. 혈관에 따라 삽입 각도를 결정합니다. 손등에 있는 혈관은 거의 10~20도면 충분합니다. 반대로 심부에 있다면 30도 정도로 넣습니다.

3. 삽입 후 피가 맺히는 게 보인다면 바늘은 뒤로 빼면서 플라스틱 부분만 밀어 넣습니다.

4. Saline lock을 연결합니다.

5. NS로 flushing 하여 붓진 않는지, 잘 주입되는지 확인합니다.

6. Tegaderm으로 Catheter를 고정합니다.

 

이론은 이렇습니다만 경험이 많이 쌓여야 잘할 수 있기 때문에 겁먹지 말고 여러 번 해보시는 걸 추천합니다. 그리고 글로는 이해하기 힘들 수 있으니 유튜브에 올라온 무수한 영상들을 같이 보기를 권해드립니다.

 

 

A line (Arterial line) 개요, 적응증

중환자실 환자라면 대부분 갖고 있는 A line(Arterial Line)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한국말로 동맥관이라고 하며, 임상에서는 주로 A line으로 많이 불립니다. 오늘은 개요 및 적응증을 설명

nursingmemo.tistory.com

 

 

CVP(Central Venous Pressure), PCWP(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개념 및 정상범위

오늘은 C line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측정값인 CVP, PCWP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CVP는 Catheter의 끝이 RA에 존재하는 IJ Catheter를 이용해 측정할 수 있고, PCWP는 Swan ganz catheter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nursingmemo.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