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실무 이론

복수 천자 ( Paracentesis, Ascites tapping ) 정보, 간호

by 간호사 지니 2023. 4. 9.

오늘은 병원에서 종종 행해지는 복수 천자 (Paracentesis, Ascites tapping)에 대해 설명해 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복수 천자
복수 천자

목차

1. 복수 (Ascites) 란?

2. 복수 천자란?

- 2.1. 복수 천자 정의

- 2.2. 복수 천자 적응증

- 2.3. 복수 천자 금기

3. 복수 천자 간호

- 3.1. 환자 준비

- 3.1. 복수 천자 준비물

- 3.2. 복수 천자 후 간호

 

1. 복수 (Ascites) 란?

 

복수
복수

복수란, 배 복 (腹) + 물 수 (水)가 합쳐져 만들어진 뜻으로 말 그대로 배에 있는 물이라는 뜻입니다. 정상적인 사람도 복강 안에 복수는 어느 정도 있어 장기들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환자의 몸이 아닌 건강한 사람의 몸의 복강엔 장액같은 노란 양상의 복수가 50cc가량 들어있습니다.

 

복수가 복강에 너무 많이 쌓이게 되면 환자가 복통을 호소하거나 호흡 곤란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2. 복수 천자란?

 

2.1. 복수 천자 정의

복수 천자
복수 천자

복수 천자도 한자어입니다. 말 그대로 복수를 찔러서 뚫는 다는 뜻입니다. 복강 내에 관을 찔러 복수를 배액하고 채취하며, 필요하다면 그 복수로 진단검사 및 병리 검사를 시행합니다.

 

1차적인 목적으로는 과하게 쌓여있는 복수를 제거함으로써 환자의 불편감을 덜어주기 위함이고, 2차적인 목적은 그 채취한 복수로 검사를 나가는 경향이 있습니다.

 

2.2. 복수 천자 적응증

복수 천자를 하는 이유는 크게 3가지로 볼 수 있습니다.

 

1. 환자의 증상을 덜어주기 위함 

: 앞서 말씀드렸다시피, 복수가 너무 많으면 환자는 복통이나 호흡곤란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복수를 제거해 줌으로써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2. 복수 감염이 의심되는 경우

 : 임상적 추론을 통해 복수가 감염이 되었다고 판단이 되면 복수 천자를 시행해 균 검사를 나갑니다.

3. 간경변 환자의 병세가 더 진행될 경우

 : 간이 나쁜 환자는 대부분 복수가 찬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복수 천자를 통해 현재 상태를 간접적으로 파악할 수 있습니다.

 

2.3. 복수 천자 금기

대부분의 환자는 복수 천자를 해도 무방하지만, 일부 사항은 금기입니다.

 

1. 혈액응고장애가 있거나 예상되는 경우

 : 복수가 과다한 환자는 대부분 간이 안좋기 때문에 마찬가지로 혈액응고 장애가 있을 확률이 매우 높습니다. 이전 혈액검사 결과 및 응고 검사를 확인해야 합니다.

 

2. 수술이 필요할 정도로 아픈 급성 복통

 : 장 내에서 어떤 상황이 급작스럽게 일어났는지 알 수 없으니 괜히 위험한 행동은 하지 않도록 합니다.

 

 

3. 복수 천자 간호

복수 천자 간호
복수 천자 간호

 

3.1. 환자 준비

1. 천자하는 위치가 방광의 위치 근처에 있기 때문에 먼저 배뇨를 하도록 합니다. 중환자실 환자는 보통 소변줄이 있기 때문에 추가로 더 manage 할 건 없습니다.

 

2. 앉은 자세를 취해줍니다. 침대 머리를 조절하여 올려줍니다. 복수는 액체이기 때문에 , 몸 안 속에 있더라도 중력에 의해 아래로 내려갑니다. 머리를 올려줌으로써 복수를 복강 아래에 모이게 합니다.

 

3.2. 복수 천자 준비물

사실 복수 천자할 땐 준비물이 크게 필요하진 않습니다. 소독할 거, 찌를 거, 복수 담을 거 이렇게만 생각해도 됩니다.

 

1. 소독 물품

포비돈, 리도카인 (피부 마취용)

 

2. 찌르는 물품

18~22G angio catheter, 환자가 말랐다면 더 가는 바늘을 사용합니다.

 

3. 복수 담는 물품

20~50cc 주사기, extension line, 빈 생리식염수 통

 

멸균하게 찌르기 위해 소공~중공을 쓰긴 하지만 무조건 필요한 물품은 아니니 간단하게 작성해 보았습니다. 병동에서는 인턴이 시행하지만 중환자실에서는 환자 상태가 복합적이기 때문에 주치의가 시행합니다.

 

3.3. 복수 천자 후 간호

보통 멸균하게 연결한 주사기로 처음 담은 복수로 culture 검사를 나갑니다. 그러고 나서는 비교적 깨끗한 빈 통(생리식염수 통)을 이용하여 복수를 받아내게 됩니다.

 

그리고 보통 하루에 500~1000cc를 빼내고, 더 빼야 한다면 다음날에 시행합니다. 갑작스럽게 체액이 다량 빠져나간다면 V/S이 불안정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바늘을 뺀 후 Dressing을 하고 지속적인 복수 leakage, 감염, 혈종 등이 생기지 않는지 주기적으로 확인합니다.

 

 

 

요추천자 (Spinal tapping) 정보, 간호

오늘은 요추천자로 불리는 Spinal tapping에 대해서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대부분은 진단을 위해 요추천자를 시행합니다. 목차 1. 요추천자(Spinal tapping) 정의 - 1.1. 요추천자란? - 1.2. 요추천자의 목적

nursingmemo.tistory.com

 

 

의식 사정 도구 : GCS / RASS / Limb Motor / CAM-ICU / Pupil Reflex

오늘은 중환자실에서 사용하는 의식 사정 도구인 GCS, RASS, Limb Motor, CAM-ICU, Pupil Reflex에 대해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목차 1. GCS - 1.1. Eye Opening - 1.2. Verbal Response - 1.3. Motor Response 2. RASS - 2.1. Agitation -

nursingmemo.tistory.com

 

 

C line (Central line, 중심정맥관)

오늘은 C line (central line, Central venous line, 중심정맥관)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항암, 투석하는 환자를 제외한 일반 환자들은 보통 갖고 있지 않으며 중환자실로 와야지만 삽입하는 경우가 많습

nursingmemo.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