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간호 실무 이론

A line (Arterial line) 개요, 적응증

by 간호사 지니 2023. 2. 24.

중환자실 환자라면 대부분 갖고 있는 A line(Arterial Line)에 대해 간략하게 알아보겠습니다. 한국말로 동맥관이라고 하며, 임상에서는 주로 A line으로 많이 불립니다. 오늘은 개요 및 적응증을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A line
A line

 

목차
1. A line (Arterial line) 이란?
2. A line 적응증 (삽입 목적)
2.1. 빈번한 동맥혈 채혈
2.2. 지속적인 혈압 측정

 

1. A line (Arterial line) 이란?

Arterial line은 말 그대로 Artery line, 즉 동맥에 있는 관이라는 뜻입니다. 일반적으로 병원에 가서 수액을 맞을 때는 Vein, 정맥에 관을 놓게 됩니다. 정맥은 피부 바깥에 존재하고, 동맥은 상대적으로 피부 안쪽에 존재합니다. 겉으로 보기에는 거의 비슷해서 환자들이 종종 왜 수액이 안 떨어지냐고 물어봅니다.

 

그렇기 때문에 두꺼운 바늘로 피부를 더 깊숙이 찌르게 되고, 수액을 맞기 위해 잠깐 따끔하는 것보다는 훨씬 아파합니다 (실제로 찔려본 적은 없습니다. 환자들이 아파하는 정도가 확연이 다릅니다.)

 

보통은 중환자실, 수술실에서 많이 삽입하게 되며 일반 병동에서는 응급 상황이 아니라면 거의 하지 않습니다. 그리고 중환자실이라고 해도 전부 삽입하는 것은 아닙니다. 하지만 제 경험상 95% 이상은 전부 A line을 갖고 있습니다.

 

2. A line 적응증 (삽입 목적)

중환자실에 환자가 입실하게 되면 보통 30분 이내로 A line을 삽입하게 됩니다. 환자에 따라 삽입이 잘 되고 안 되고 차이가 있지만 우선순위가 상당히 높은 의료 행위입니다.

 

2.1. 빈번한 동맥혈 채혈

앞에 말씀드렸다시피, A line을 삽입하는 것은 굉장히 아픕니다. 병동에서는 동맥을 찌르고 관을 유지하기보단 잠깐 ABGA(Arterial Blood Gas Analysis)를 하기 위해 한 번 찌르고 맙니다. ABGA에 대해서는 다음에 자세히 말씀드리도록 하고, 환자 컨디션이 저하되면 ABGA를 상당히 자주 실시하게 됩니다.

 

병동에서야 ABGA를 할 필요가 거의 없지만 중환자실에서는 환자 컨디션의 지표가 되어주기 때문에 최소 하루 1회 이상은 꼭 하게 됩니다. 하루 1번씩 매우 아픈 시술을 받는다고 하면 얼마나 아프고 힘들겠습니까? 환자도 힘들고 의료진도 힘듭니다. 그래서 간헐적으로 동맥을 찔러 ABGA를 하는 것이 아니라 A line을 유지시켜 아프지 않게 동맥혈을 채혈할 수 있게 만듭니다.

 

중환자실에서는 ABGA 뿐만 아니라 각종 전해질, 신장수치, 간수치를 확인하기 위해 채혈을 아주 아주 많이 하기 때문에 어지간하면 A line이 있는 것이 좋습니다.

 

 

2.2 지속적인 혈압 측정

환자의 V/S (Vital sign) 중에 BP(Blood Pressure)를 측정하는 정확한 방법으로 ABP(Arterial Blood Pressure)가 있습니다. 보통 보건소가 동네 병원에 가서 팔을 기계에 넣고 혈압을 측정하는 것은 NIBP(Non Invasive Blood Pressure, 비 침습적 혈압)이라고 합니다. 즉, 몸을 찌르지 않고 혈압을 측정한다는 뜻입니다.

 

 

ABP
ABP

반면에 ABP는 몸에 가지고 있는 A line으로 혈압을 측정한다는 뜻입니다. 그리고 적절하게 모니터 세팅을 하면 화면에 보이게 됩니다. 그리고 맥박에 따라 위 사진처럼 일정한 파형이 나타나게 되는데 내용이 너무 길어지니 또 다음에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게다가 ABP는 기계만 세팅해 놓으면 따로 팔을 압박하고 기다리고 이러는 시간 지체 없이 바로 혈압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중환자실은 병동처럼 환자들이 안정적인 상태가 아니고 매우 긴박한 상황이 많이 오기 때문에 혈압을 확인하기 위해 매번 1분 가까이 되는 시간을 기다릴 수 없습니다. 그래서 A line을 확보하여 매초 혈압을 확인하는 것입니다.

 


오늘은 임상에서 A line이라 불리는, 중환자실 환자 대부분이 갖고 있는 동맥관의 개요 및 적응증에 대해서 설명해 드렸습니다. 다음에 더 자세히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