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8

thumbnail ARDS(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 원인, 증상, 치료 오늘은 내과 중환자실에서 주로 등장하는 진단 ARD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풀 네임은 Acute Respiratory Distress Syndrome인데, 이름이 굉장히 두루뭉술하게 표현되어 있어서 개념을 이해하는데 상당히 모호합니다. 한국말로 하면 '폐 힘듦 증후군' 정도일 것 같습니다. 목차 1. 정의 2. 원인 - 2.1. sepsis - 2.2. harmful 물질 흡입 - 2.3. 심각한 폐렴 3. 증상 - 3.1.SOB (Shortness of Breath) - 3.2. 저혈압 - 3.3. Confusion 4. 치료 - 4.1. Oxygen supply - 4.2. Fluid - 4.3. 약물 - 4.4 Prone position - 4.5. NO gas therapy 1. 정의 ARDS.. 2023. 3. 10.
thumbnail Level 1, Mac Catheter 어제에 이어 MTP와 연관된 개념인 Level 1과 Mac catheter를 설명해 드리겠습니다. 수혈을 많이 하게 되면 차가운 혈액이 몸에 들어가기 때문에 Level 1이라는 기계를 주로 사용합니다. Level 1 기계는 별 특별한 다른 게 아니고 혈액을 따듯하게 데워주는 기계입니다. 목차 1. Level 1 - 1.1. Level 1 개념 - 1.2. Level 1 set - 1.3. 부착 가능한 line - 1.4. Priming 방법 2. Mac catheter 1. Level 1 1.1. Level 1 개념 Level 1 기계는 환자의 굵은 혈관 (16G IV 이상 혹은 Venous return C line)에 연결하는 혈액 가온 주입기 입니다. 기계가 엄청 커다랗고 뭔가 대단해 보이지만 혈액을.. 2023. 3. 9.
thumbnail MTP (Massive Transfusion Protocol) 간호 수술 환자에게 다량의 수혈을 하기 위한 Massive Transfusion Protocol이지만 내과중환자실에서도 종종 일어나는 일입니다. 보통 간이 안 좋은 환자들이 Varix bleeding으로 인한 hematemesis 나 hematochezia, melena 등으로 출혈 징후를 보이며 내과 중환자실에 입실하게 됩니다. 목차 1. Massive Transfusion 정의 2. Vicious cycle 2.1. Coagulopathy 2.2. Acidic blood 2.3. Hypothermia 3. MTP 합병증 3.1. Hypothermia 3.2. hypocalcemia 3.3. hyperkalemia 1. Massive Transfusion 정의 그저 수혈을 많이 한다고 전부 MTP는 아닙니다.. 2023. 3. 8.
thumbnail CVP(Central Venous Pressure), PCWP(Pulmonary Capillary Wedge Pressure) 개념 및 정상범위 오늘은 C line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측정값인 CVP, PCWP에 대해 설명해 보겠습니다. CVP는 Catheter의 끝이 RA에 존재하는 IJ Catheter를 이용해 측정할 수 있고, PCWP는 Swan ganz catheter로 측정할 수 있습니다. 목차 1. CVP 1.1. CVP wave 1.2. CVP 정상범위 2. PCWP 2.1. PCWP 정상범위 1. CVP CVP란 Central Venous Pressure의 약자입니다. Right Atrium에 C line의 끝이 위치할 때, 측정할 수 있습니다. 다른 말로 하면 끝이 RA에 위치하지 않다면 측정값이 부정확합니다. Femoral에 삽입한 C line은 CVP를 측정할 수 없습니다. PICC는 Catheter의 끝이 Right Atr.. 2023. 3. 7.
thumbnail Swan ganz catheter 목적, 구성 오늘은 C line의 종류 중 하나인 Swan ganz catheter에 대해서 설명해 보겠습니다. 저도 임상에서 다루어본 적은 거의 없어서 많이 낯선 C line 이긴 합니다. 목차 1. Swan ganz catheter 목적 1.1. 진단 1.2. 치료 2. Swan ganz catheter 구성 2.1. PA Distal lumen 2.2. Proximal injectate 2.3. Balloon inflation port 2.4. Thermistor port 2.5. RA infusion port 1. Swan ganz catheter 목적 일반적인 경우는 잘 넣지 않으며, 좌/우 심장 내의 압력과 Cardiac output, Right ventricle 사정이 목적입니다. 중환자실에서 직접 넣는.. 2023. 3. 6.
thumbnail C line 종류 (Arrow, Trialyis, PICC, Perm, Hickman, Chemoport) 오늘은 C line의 종류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환자의 질병이 다양한 것처럼, 각 질병에 맞는 C line이 있으며, 해당 치료에 가장 적합한 C line을 삽입하게 됩니다. 목차 1. 비터널형 1.1. Trialysis 1.2. Arrow 1.3. PICC 2. 터널형 2.1. Perm 2.2. Hickman 2.3. Chemoport 1. 비터널형 C line은 터널형/비터널형으로 나뉩니다. 터널형은 피부 밑으로 터널을 만들어, 즉 새로운 길을 만들어 C line을 삽입하는 형태이고, 비터널형은 혈관에 바로 C line을 삽입하는 형태입니다. 터널형은 수술장에 가서 관을 넣고 오지만, 비터널형은 보통 중환자실에서 주치의가 직접 넣습니다. 1.1. Trialysis 내과 중환자실에서 가장 많.. 2023. 3. 5.